简体中文
繁體中文
English
Pусский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Bahasa Indonesia
Español
हिन्दी
Filippiiniläinen
Français
Deutsch
Português
Türkçe
한국어
العربية
요약:sk바이오팜 CI [인포스탁데일리=박상인 기자] SK바이오팜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뇌전증 1위 업체로 성장할 것이지만 검증엔 시간이 필요하다는 증권가 평가가 나왔다. 유진투자증권은
sk바이오팜 CI
[인포스탁데일리=박상인 기자] SK바이오팜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뇌전증 1위 업체로 성장할 것이지만 검증엔 시간이 필요하다는 증권가 평가가 나왔다.
유진투자증권은 4일 SK바이오팜 투자의견을 '보유'로 하향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1만원에서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약물명 엑스코프리)의 발작완전소실 비율 [자료=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미국 약물명 엑스코프리)'가 미국, 유럽에 이어 일본시장에 기술 수출을 완료했고 유럽에서는 기술 수출 지역이 32개국에서 41개국으로 확장됐다”며 “세노바메이트의 매출액은 지난해 106억원을 시작으로 올해 732억원으로 급증하고, 미국에서 적응증 확대가 시작되는 2024년 5682억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아울러 그는 “주력 약품인 세노바메이트의 미국시장에서의 적응증이 부분 발작에서 전신발작으로 확대되면서 매출액 급증이 예상된다”며 “2025년부터는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치료제인 카리스바메이트의 판매도 시작될 것이기 때문에 이익 성장의 폭이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약물명 엑스코프리) 월별 미국 처방액 [자료=유진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은 상장 이후 주가 상승 폭이 예상보다 커서 경쟁업체들 대비 주가가 높게 형성되고 있다고 보고 투자의견은 하향했다.
한 연구원은 “SK바이오팜이 기술수출 한 재즈 파마슈티컬(Jazz Phrmaceutical)의 올해 매출액과 시가총액은 각각 약 2조6000억원, 10조원이고 글로벌 1위 뇌전증 약품업체인 UCB의 매출액과 시가총액은 각각 약 7조3000억원, 23조원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SK바이오팜이 UCB를 넘어서는 업체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이를 검증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상인 기자 si2020@infostock.co.kr
면책 성명:
본 기사의 견해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일 뿐이며 본 플랫폼은 투자 권고를 하지 않습니다. 본 플랫폼은 기사 내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개인의 기사 내 정보에 의한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